학술논문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용수 39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in Korea, China, Japan, and USA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8권 제3호, 311~3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초등수학교육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4개 국가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면밀하게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형 영역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USA, as a part of efforts to compose contents of global elementary mathematics. This paper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mathematical contents in the domain of geometry.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that are expected to be informative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도형 영역에 대한 연구 결과
Ⅴ. 맺는 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