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이용수 6
- 영문명
- The Translation Ability of Functional Express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천유영 임대근 류현아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6권 제1호, 141~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함수에서 한 표현 양식을 해석하여 다른 표현 양식으로 번역하는 과정은 함수적 사고 능력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며 함수의 지도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수학 수준별 함수의 번역 능력과 번역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찾아 함수 교수 학습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각 문항에 대하여 수준별로 정답률을 분석하고, 오류 유형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교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rocess to translate into other forms in the form of expression for function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thinking. Also it should be emphasized on the teaching of the function.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translation ability of functional expressions and errors in the process to transl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 To do this, we lead high school students perform the task to examine the translation ability. Then we compute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and analyze the types of errors and their caus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함수의 표현과 번역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 논술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수학적 숙련도
-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에 따른 오류 유형 분석
-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 중학교 기하에 관한 교사의 인지적 지식 분석
-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매뉴얼 개발
-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정폭도형을 활용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결과 분석 연구
-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 The Construction of an Abstract Schema in the Simila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