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among Korean Speakers of English
이용수 25
- 영문명
-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among Korean Speakers of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Sujung Mi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29권 제3호, 29~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s I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among Korean English speakers, using data from sociolinguistic interviews. Previous research on I think and you know has suggested that they are highly frequent among native speakers but much less used by non-native speakers and that particularly you know among nonnative speakers is rather used for discourse-organizational purposes not for intersubjectivity. Since English is learned and used as an important foreign language in Korea, Korean society is a remarkable context for research on both world Englishes and English as a lingua franca.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In ELF interaction, I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used for marking speaker-centered and subjectivity, though they are used differently by native English speakers. The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use of I think and you know among Korean speakers of English is similar to that in other ELF communication. Both are used as discourse-pragmatic markers to convey speakercentered attitude as fumbling device and express subjectivity in evaluating part of the discours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growing body of discourse markers analyzed through a systematic and replicable methodolog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ISCOURSE MARKERS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어문교육 제29권 제3호 목차
-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among Korean Speakers of English
- AI 기반 자동쓰기평가(AWE) 프로그램 활용과 교수자 피드백에 대한 영어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 ESL/EFL 상황의 영어 습득에서 영문법의 역할
- From Reading Nonsensical Jabberwocky to Proposing Topics for English Pedagogy
- 수준별 영어 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 분석
- PBL 기반 공학영어 ESP 교수·학습 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