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Japan's CPTPP Trade Effect Using Gravity Model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f Japan's CPTPP Trade Effect Using Gravity Model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종인 황성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5, 175~1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2022,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intention to join the CPTPP, led by Japan and launched in 2018, which aims to achieve comprehensive tariff abolition and establish new trade norms. According to our analysis, as with traditional gravity model outcomes, it appears that the greater the per capita GDP and the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countries, the greater the effect on promoting trade. However, the trade-enhancing effect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CPTPP has not yet been clearly confirmed. Nevertheless, if tariff abolition and reduction proceed as planned, the trade-enhancing effect of the CPTPP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in trade between Japan and CPTPP member countries may suggest a potential contraction in trade with non-member countries. This could pose a threat to Korean industries that need to establish a stable supply chain within the Asia-Pacific region. As Japan is South Korea's fourth largest trading partner, a detailed review of the impact of the CPTPP on future trade between Japan and its member countries should form the basis for discussions on Korea's possible participation in the CPTPP and the content of negotiat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odel and Data
Ⅲ. Research Result
Ⅳ.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IS 서비스 권역 분석을 활용한 인천광역시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
- 노인 우울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nalysis of Japan's CPTPP Trade Effect Using Gravity Model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
- 수의사 처방제 전·후 가축에 대한 항생제 판매량
- 정신과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동료지지의 조절효과
- COVID-19 시기 플립러닝을 활용한 핵심 간호술 실습교육 효과
- 재해경감활동 목표 달성 계획 기간을 고려한 중점관리 대상 위험 우선순위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
- 인체공학적 위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솎아베기에 따른 산불연료량과 수관화 위험도 변화 연구
- 재난 시 소셜미디어 사용지침(ISO 22329: 2021) 국제표준의 활용방안 연구
- 여성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 특수전부대의 안전풍토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5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