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0주간 산림 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요인과 혈중 지질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8
- 영문명
- Effect of 10 Weeks of Exercise in the Forest on Physical Fitness Factor and Blood Lipid Profiles in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한국복합리조트포럼
- 저자명
- 정덕화 강성훈
- 간행물 정보
- 『관광체육연구』제2권 1호, 45~5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 weeks of exercise in the forest health fitness factors and blood lipids profiles in elderly women. Method: Twenty-four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residing in C city,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CO, n=11) and a forest exercise group (EX, n=13). The exercise group did in forest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a duration of 10 weeks, with an exercise intensity aimed at burning 200-250 calories.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tests, and blood lipid profile were taken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after 10 weeks. Results: As a result, the EX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t mass compared to the CO group after 10 weeks (p<.05). In addition, in the EX group, after 10 weeks, physical fitness factors, left hand grip strength (p<.05), Chair sit to stand (p<.000), and 2min step test (p<.05), Timed up & go (p<.000), WC8 (p<.000)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to CO group. Blood lipid profile of LDL-C were decreased in the EX group compared to the CO group after 10 weeks (p<.05). Conclusion: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ular foreste exercis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body fat, improving blood lipids, and improving basic physical strength in elderly wome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studies analyzing various physiological variabl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various groups such as male elderly and elderly with diseases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