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사회자본 가치 탐색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Value of Popular Culture Contents : Focusing on BT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5권 4호, 123~1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콘텐츠의 성장을 단지 문화적 현상 및 경제적 효과라는 측면으로 국한할 수 있을까. K-콘텐츠에 대한 세계적 파급력은 분명 대외적 관계 및 경제성과를 넘어 공동체에 특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중문화 콘텐츠의 사회자본 가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문화 콘텐츠는 과연 사회자본 가치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인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고는 사회자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대중문화 콘텐츠 중 방탄소년단(BTS)의 활동을 통해 사회자본 가치를 신뢰, 규범 및 가치, 네트워크라는 3개 요소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growth of K-content cannot be limited to just cultural phenomena and economic effects. The global ripple power of K-content is clearly having a certain In this paper, the social capital value of popular culture contents was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whether popular culture contents are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value. This study analyzed the value of social capital through three elements: trust, norms and values, and network through the activities of BTS among pop culture conten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ocial capit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BTS 활동의 사회자본 가치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