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컨테이너 공급망 충격으로 인한 항만의 영향 분석
이용수 74
- 영문명
- Estimation of impact on ports due to container supply chain shocks: Focused on Busan Port
- 발행기관
-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 저자명
- 최건우 윤재웅 이주원 고병욱
- 간행물 정보
- 『해양비즈니스』제55호, 79~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e to the increase in container traffic during the corona pandemic, congestion occurred in major ports worldwide.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 of port congestion with the Lasso model,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Port, it was found that it was due to the increase in transshipment volume and the decrease in reliability of container ships. In particular, unlike import and export cargo,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timing for transshipment cargo, and terminal congestion increases due to movement between terminals. Therefore, the newly built Jinhae New Port needs to improve terminal operation efficiency through strategic integration.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recovery period of port congestion due to the decrease in transshipment volume and punctuality, it was estimated that it would normalize within 1-2 months.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imated the period required to recover from shock in Busan Port, it has limitations in calculating resilience for temporary shock.
목차
Ⅰ. 서론
Ⅱ. 코로나 팬데믹 시기 항만 정체 원인과 관련연구
Ⅲ. 항만 정체에 대한 국가별 대응
Ⅳ. 항만 정체에 미치는 요인 분석
Ⅴ. 외부충격 발생에 따른 항만의 영향 추정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3호 목차
- Traditional Banking Sector Involvement in the Face of Fin-Tech Innovation : Management Perspectives from Nigeria
- 기업 ESG에서의 동료 효과(peer effects)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