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갱신세 자료의 거시적 재검토와 그 맥락적 성격의 비판적 고찰
이용수 94
- 영문명
- The Korean Pleistocene Record and its Contextual Characterization: a critical re-assessment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저자명
- 유용욱
- 간행물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제47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의 구석기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자연과학적 방법의 도움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소위 ‘과학’이라는 허명이 강조되면서 구석기 방법론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바는 그다지 많지 않은데, 이는 지금까지 발견되고 파악된 다양한 갱신세 자료들의 성격을 제시함으로써 잘 드러난다. 단순하고 도식적인 5단계의 단구 형성 모델의 재검토, 구체적 증거로 남기 힘든 식물상과 식물자료의 성격 파악, 열악한 보존 환경으로 인하여 양적, 질적으로 일천한 동물화석 및 고인골 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볼 때, 한반도 구석기시대의 자료는 대부분 후기갱신세 이후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황해도 청파대 동굴의 풍부한 자료들을 대체자료로 삼아 관찰할 때, 주먹도끼를 포함한 대부분의 고고자료는 MIS 4기를 기점으로 형성된 결과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영문 초록
Because of lack of appropriate data,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Korean palaeolithic research has been courting for diverse scientific approaches and accounts. The unbounded emphasis put upon scientific approaches has been far from fruitful and conducive to the methodological advancement of palaeolithic research though; this is wellenough demonstrated by rephra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eistocene record accumulated and analyzed so far. 1) Critique on the too-simplistic-to-be-true scheme on the formation of five stepwise marine terrace, 2) re-evaluation of flora and plant record that cannot be clearly contextualized with hominin diets and behaviors, 3) deficit of uncontested faunal and paleoanthropological fossil records associated with lithic and other archaeological record, commonly lead to a very rudimentary and naïve synthesis that the majority of Korean Pleistocene record was exclusively formed during the Late Pleistocene. In particular, the exceptionally affluent in-situ proxy data reported from the Chongpadae Cave site, Hwanghae Province, indicates that Korean palaeolithic assemblages including handaxe and modern sapiens fossils were generally formed as of MIS 4.
목차
Ⅰ. 서론
Ⅱ. 한반도의 지형과 구석기 유적들의 입지 조건
Ⅲ. 한반도의 기후상과 갱신세의 생태계
Ⅳ. 고인골 화석 자료와 석기를 포함한 고고자료들
Ⅴ. 결론: 자연과학적 기법과 한반도 갱신세 구석기 자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