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rgumentation Analysis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With a focus on newspaper editorials of the 2000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6권 1호, 31~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rough newspaper editorial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of the 2000s. Editorials as a kind of media discourse expressing opinions or assertions function to form or reflect that society’s public opinions. According to the latest discourse analysis theory, newspaper articles and editorials dealing with current issues are recognized as part of politics in that they reproduce political discourse. Composed of assertions and grounds for arguments, editorials possess argumentativeness, a key attribute of political discourse. This paper explores the specific details and forms of multicultural discourse through argumentation analysis. The primary assertion is to insist on support systems, systematic language education, change i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respecting other cultures and political righ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back side of this lie the values of respect for other cultures, economic benefits from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at the societal and national levels. Such an understanding, it is hoped,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multicultural policy or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to search for a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is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분석 방법
3. 연구 대상
4. 논증 구조와 양상 분석
5. 논증의 재구성과 담론의 함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최근 동향 분석
- The Basic Research to Build Virtual Korean Language Schools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나타난 통사 복잡성 발달
- 영어 부사 완화 표지와 한국어 종결 표현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부담감 비교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한자어 교수⋅학습 전략 연구
- 학습자 활동 중심의 스테이션 학습법
- ‘-을 겸’의 문법 정보에 대한 연구 -의미, 형태, 사용의 측면에서-
- 작업기억 용량과 L2 숙달도가 한국어 학습자의 형태통사 오류 처리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 개조식 문체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 한국 사회 다문화 담론의 논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