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고대 여성작가 한시 속 태도에 대한 소견
이용수 1
- 영문명
- Observations on a few Attitudes in the Chinese Poetry of Ancient East Asian Female Writers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윤혜지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4권 제1호, 273~2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 한·중·일 삼국의 고대 여성 한시 속에서 드러나는 태도를 주목함으로써 동아시아 여성이라는 범주적 맥락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여성학적 시각에서 그녀들의 작품 속에서 드러난 이러한 태도가 어떤 의의와 가치를 지니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대 한·중·일 삼국은 유가라는 같은 문화와 한자라는 같은 문자를 공유했다. 이러한 동일한 문화적 지형도 안에 각각의 국가에 위치했던 여성작가들의 한시에는 몇 가지 경향성을 지닌 태도가 존재하는데 바로 ‘자발성’과 ‘관대함’, ‘솔직함’과 ‘성실함’이다. ‘자발성’과 ‘성실함’이라는 태도에서 여성작가의 주체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관대함’이라는 태도에서는 상대와 세상을 이해하려는 포용과 수용이라는 가치를, ‘솔직함’이라는 태도에서는 진솔한 감정 표현을 통해 동서고금을 초월한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는 대중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broad East Asian context by exploring the attitudes revealed in the works of ancient female Chinese poe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It also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se attitud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on East Asian women's literature. The ancien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untries shared the same cultural and linguistic landscape of Confucianism and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poetry of female writers in each country exhibited several tendencies: spontaneity and generosity, honesty and sincerity. These attitudes reveal the subjectivity of female writers in spontaneity and sincerity. Generosity represents the value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owards others and the world, while honesty allows for a broad readership appeal by surpassing cultural boundaries through the expression of genuine emotion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동아시아 고대 여성작가 한시에서 드러나는 태도
3.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4권 제1호 목차
- 동아시아 고대 여성작가 한시 속 태도에 대한 소견
- 초고령사회에서 에이징-테크와 웰-에이징의 공존성 연구
- 중국에서 출토된 墓誌를 통해 본 行第 사례 고찰
- 게임과 게이미피케션의 교육철학적 속성에 대한 융합적 고찰
- 문항반응이론에서 문항모수 추정 알고리즘을 위한 C언어 코드 구현에 대한 연구
- 18세기 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
- 리부트 현상으로 보는 K-POP의 미래
- 음성분석 기반 표준중국어 ‘마찰음’ 교육방안
- 왜 동물철학이 필요한가?
- 『그라두알레 트리플렉스』(Graduale Triplex) 사순 시기 영성체송 분석에 의한 『가톨릭 성가』 선곡 방안
- 창작연희 개념 구성을 위한 시론
- 정규직-비정규직의 라이프싸이클 추정
- 중국어 교육을 통한 중국의 이해, 이에 대한 텍스트로서의 고대 운문
- 인공지능(AI)의 음악 창작과 활용성에 관한 논의
- 언어적 의사소통과 멀티모달 대화분석
- 『莊子』를 통한 도가적 관용론 구성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