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207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박동영 정경화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7권 제3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격성 정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개념, 외로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개념, 외로움은 공격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어머니와의 의사소통(t=-3.272, p<.001)과 외로움(t=2.579, p<.001)은 공격성을 18.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t=-3.272, p<.001)과 외로움(t=2.579, p<.011)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부모-자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부모가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녀의 입장에서 소통하면서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ggress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concept, and loneliness in adolescent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ag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concept, and loneliness had a correlation with aggress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with mother (t=-3.272, p<.001) and loneliness (t=2.579, p<.001) explained 18.2% of aggres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t=-3.272, p<.001) and loneliness (t=2.579, p<.001)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aggress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in which family can participate together while parents understanding their child's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e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목차
1. 서론
2. 연구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9 자주포 엔진용 오일펌프 조립체의 개선에 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그릿, 의사소통 능력 및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19 발생 이후 일상생활활동 변화와 인지된 사회적 지지가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40MW급 디젤 발전 장비의 실용적인 축계정렬 연구
-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폭력경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대유행 중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평생학습기관의 ESG 경영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가 교육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