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정과 차이
이용수 112
- 영문명
- Negativity and Difference: Adorno and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s in the Kafkaesque World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김대중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8권 2호, 3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comparatively discus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ideas on difference and identity put forth by two prominent Western thinkers of contemporary theories: Gilles Deleuze, a French philosopher, and Theodore Adorno, a German philosopher. Rather than a purely philosophical comparative study, this research focuses specifically on the comparison of both thinkers’ discussions of Kafka’s works. Adorno has been regarded as the philosopher of negativity, while Deleuze is seen as the philosopher of positivity and life. Although both philosophers perceive the world differently, they both strive to deconstruct Western ideas of identity in order to revive the concept of ‘difference.’ Identity and difference have been topics of extensive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hold relevance in contemporary areas such as community, politics, and ethics. The essay begins by presenting the thoughts of Hegel and Heidegger on difference and identity, before delving into Adorno’s deconstruction of these ideas and his exploration of negativity as a means to disrupt identity. In comparison to Adorno, Deleuze develops the notion of difference itself as a pathway to the realm of becoming. The latter half of the essay compares both thinkers’ discussions of Kafka’s world: Adorno’s analysis of the Kafkaesque in light of non-identity, and Deleuze’s examination of minor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the line of flight.
목차
Ⅰ. 현시대 문제로서의 동일성과 차이
Ⅱ. 헤겔과 하이데거의 동일성과 차이
Ⅲ. 아도르노의 긍정철학과 들뢰즈의 부정철학 사이의 ‘차이’
Ⅳ. 아도르노와 들뢰즈 그리고 그들의 공집합으로서의 카프카 속 ‘차이의 영토’
Ⅴ. 결어: 카프카의 동물원에서 마주친 아도르노와 들뢰즈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적 불만과 계급투쟁의 조건을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제언
- 우리 안의/아닌 우리
- 들뢰즈와 과타리의 ‘분리 종합’ 이론
-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상실
- 한국 영문학 비평 이론의 지형도 2
- 비평과 이론 제28권 2호 목차
- 문화연구와 양자역학
- 토니 모리슨의 『사랑』에 나타난 사랑의 여성윤리
-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덕적 출산과 감정의 정치학
- 부정과 차이
- ‘이탈리아 이론(Italian theory)’의 생명 정치와 ‘공동체’
- Aporias of Habermas’s Political Philosophy
- 정동과 동물의 응답
- 정신적 에너지의 역동적 심리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