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터뷰평가의 담화분석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Discourse Study of Korean Oral Proficiency Interview Test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국 신동일 박성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7권 2호,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lassroom-based interview test of Korean proficiency can reflect authentic ways people speak in non-test situations. This study analyzed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11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interlocutor-interviewee discourse is highly asymmetrical in terms of features of turn distribution, dominance, mutual contingency and goal-orientation. The fixed role relationship (a native speaker of Korean and nonnative speakers, or teacher and student) in the one-to-one test format makes it difficult for the interviewees to escape this asymmetry. The finding from this study implicates that various interaction pattern should be used, and that interactional competence need to be considered in a speaking test of Korea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뷰평가의 담화분석 연구
-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Intonation: A Case Study of English-Speaking Learners
- 한국어교육학 연구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 상대방 소유물 사용시의 무언행위에 대해서
- 일본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 NHK(일본방송협회) 텔레비전 교육 방송을 통한 한국어 교육
- 다언어 학습 시스템을 통한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분석 방법 고찰
-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의 위계별 교수사례안
- 유형별로 본 한국어 능력 평가의 실제와 과제
- 일본 내 한국어 교재의 명칭에 대한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