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cent of the Heian Dynasty: Makuranosousi and “Scent”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영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1輯, 167~1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平安王朝」と「香」という観点から、清少納言が捉える平安朝の香文化について検討し、『枕草子』に登場する香りの種々相を探ってみる試みである。『源氏物語』と比べてみたら、清少納言は自然風物に対して、あれほど鋭敏な観察力の持ち主であったにも関わらず、四季折々の薫物の具体的な名前を記すことなく、香りの演出される様々な情景や雰囲気を描くことに集中している。『枕草子』において、香りとは「描く」対象ではなく、「楽しむ」対象であった。ただ「心にくき」香りがあれば、それをその場で楽しむことに重点がおかれていたのである。清少納言の関心はその香りが演出される様々な情景や雰囲気に向けられていたのである。 また、空気を浄化する空薫物の他にも、「衣」にためしめた香りや「紙」に染み込んだ香りにも清少納言ならではの繊細な感覚が目立つ。「七月ばかり、いみじう暑ければ」段では、香りをよくたきしめた「紙」について称賛する。男から女のもとに送られた後朝の文は「香の紙」に書かれており、「丁子の香り」のする恋文であった。清少納言は消息の色彩美とともに、それに伴う「香り」にも繊細な注意をはらい、紙に染み込んでいる丁子の微かな香りの臭覚美を描いているのである。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incense culture of the Heian period captured by Sei Shonagon from the perspective of “Heian dynasty” and “Ko” and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fragrance that appears in Makuranosousi. First of all, Makuranosousi focuses on drawing various scenes and atmosphere in which the scent is produced without mentioning the specific name of the scent of each season. In any case, the type of smoked food that appears in Makuranosousi and “Kinokimono” are presumed to be “Kayo” or “Kurobo.” Due to the fragrance, the incense of Lieutenant General Tsai Shin must have given off a more wonderful scent in the long rain. In addition to the air freshener, the delicate sense unique to Sei Shonagon stands out in the scent of “clothes” and the scent soaked in “paper.” In the section “If it’s only July, it’s very hot,” people praise the fragrant paper. The post-morning text sent by a man to a woman was written on “Ko no kami” (paper of incense), and it was a love text with the “scent of choko.” Along with the color beauty of the letter, she paid close attention to the accompanying “scent” and depicted the subtle scent of the choko soaked in the paper.
목차
1. はじめに
2. 平安京と「におい」
3. 「心ときめきする」香り
4. 菖蒲と薬玉の香り
5. 薫物の香
6. 紙の香
7. おわりに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 고훈시대 용문반육조대장식구의 제작기술과 한일교섭
- 일본어 형용사의 명사화 정도에 관한 일고찰
- 상(上)의 메타포적 분석
- 地域的特性が反映されるエントランス言葉のストラテジー: 言語景観のメディアとしての可能性
- 『蜻蛉日記』卷末歌集에 관한 一考察
- 『설국』에 나타난 나방의 이미지와 고마코
- BCCWJ 기반 일본어 외래어 사용경향 분석
- 『고등소학독본』과 『국민소학독본』의 고유명사 표기 대응과 저본과의 관련성
- 식민지 조선 체험과 전쟁아동문학
- 모리사키 가즈에의 ‘식민지 조선으로 가는 길’
- 江國香織初期作品における別れと再会の諸相: 「デューク」を中心に
- 平安王朝の香り
- 日本就職を目指す仲間づくりを目的とした日本語キャンプの実践と効果: SCATによる質的分析を通して
- 대학 교양수업의 핵심역량 평가 연구
- 미야케(宮家)의 여성 묘사를 통해 본 헤이안조 문학의 서사구조
- 日露戦争と『帝国文学』
- 戦後世代に歴史を伝えることと人間の存在論: 鄭閏熙の『青春の軌跡』論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 한 · 일 양국의 음식관광 세계화 전략에 관한 고찰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日本語の無生主語中間構文と降格受動構文の生態心理学的研究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