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이용수 28
- 영문명
- The Role of Spreadsheet in Teaching Function and Modeling Activit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손홍찬 류희찬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5권 4호, 505~5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함수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2절에서는 스프레드시트가 함수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하거나 계수 변화가 함수의 그래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도움을 주고 새로운 수학적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3절에서는 학생이 수행한 모델링활동을 통하여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이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해석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함을 보이고 새로운 사실의 발견과 이의 수학적 정당화 가능성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role of spreadsheet in teaching function and modeling activity by some examples and students' activity performed by the six 10th graders. We especially focused the role of spreadsheet in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s of functions and the families of functions, and in the explanation of the given modeling problem situations. The functions of automatic copy, graphic and the cell reference of spreadsheet can be used to make students observe the causes and effects of changes of the various kind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of functions such as algebraic formulas, tables and graphs. Especially those functions give students a chance to identify family of functions by changing the parameters and this may lead them to the discovery of mathematical facts. In modeling activities they play a key role in the stages of the analysis of the model, explanation of the results of model and conjecture of the real world situations. As well as they make students find the rules underlying in the real world by making spreadsheet as simulation environments, which are almost impossible to make in paper and pencil environments, and give them a chance to justify their findings using mathematics.
목차
Ⅰ. 머리말
Ⅱ. 함수 지도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Ⅲ.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의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