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Services for Movie Sound Effects: Focusing on the K-Sound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현태 이정은 이슬비 김건 김수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3권 제2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 영화산업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제의 주요상을 수상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 고 있다 더불어 콘텐츠의 국제적 관심과 코로나 이후 산업의 성장은 국내 영화산 . K- 19 OTT 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여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제작에 있어 효과음원은 . 영화 필름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영상의 분위기와 감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년부터 한국적 정서를 갖춘 한국형 효과음 . 2013 원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년부터 라는 효과음원 아카이 . 2021 ‘K-Sound Library’ 브를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하고 있는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시스템의 문제 등으로 그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효과음원 아카이브인 . ‘K-Sound Library’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음향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 서비스 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및 해외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음원의 . 분류체계 및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film industry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period of prosperity, evidenced by the numerous awards won at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Furthermore, growing global interest in K-content and the expansion of the OTT industr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are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Sound effects play a crucial role in conveying the atmosphere and emotions of a film, making them an essential element of film production. In response, the Jeonju IT & CT Industry Promotion Agency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sound effects since 2013. Furthermore, the agency launched an online service called the “K-Sound Library,” a sound effect archive, in 2021. However, the service has not been widely utilized because of issues with the database’s construction and the system’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Sound Library’s problems through interviews with sound effects specialists about the online service of the first sound effect archive in South Korea. Based on the interviews and analyses of foreign cases,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earch services’ usability and the sound effects classification syste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해외 효과음원 아카이브 현황분석
4. K-Sound Library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