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수학에서의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의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On the Approach for the Volume and the Surface Area of Solid Figures in the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홍갑주 최영기 안숙영 김건욱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1호, 8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9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의 수학 7-나 과정에서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를 다루는 방식을 조사하여 그 설명방식이 도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지적하고, 특히 구체물을 통한 실험적 방법에 의존하는 설명이 갖는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대해 구의 측정에 대한 Archimedes의 연구로부터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에 대한 접근의 목적과 방법에 있어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행 접근방법에 대한 보완적인 접근방법 및 그 실제 적용에 있어서의 고려사항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way of teaching varies according to the kinds of figures in explaining the volume and the surface area of solid figures in the seventh grade curriculum. Especially,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 of the explanation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method using physical objects. Considering the study of Archimedes' research about measuring sphere, we investigate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based on this result, suggest the complementary approach and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o current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현행 교과서의 접근방법 및 구의 측정에 대한 설문
Ⅲ. Archimedes의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
Ⅳ. 보완적 접근방법 및 실제 적용시의 고려사항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 Cavalieri 원리를 통한 뿔과 구의 부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