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view on Relation between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Student Learning
이용수 0
- 영문명
-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학생의 성취도에 관한 문헌 연구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은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2권 1호, 39~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9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는 최근 몇년동안 서서히 발전하고 있다. 교사가 수학을 가르치기위해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함께,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이 어떻게 학생 성취도와 관련되어 있는 지를 밝히려는 연구들도 역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다양한 해석들과 이 지식과 학생들의 성취도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 주제를 연구하는데 어려움들이 무엇인지 밝힌다. 또한, 이 연구는 관련 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학생들의 성취도에 관한 가능한 연구 주제 및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i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KTM) has been gradually growing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various conceptualizations about what teachers need to teach mathematics, there have been stud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TM and their students' achievement. In this paper, I reviewed various conceptualization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exis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about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 review, I identified the challenges to studying this relationship mainly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a phase—teaching practice—between teachers' KTM and students' learning. Considering the challenges that have been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review, I proposed topics for future studies that would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how the teachers' KTMare related to their students' achievement, and investigate further about whether and how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classroom is related to changes in teachers' KTM.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xisting Research
Ⅲ.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추에 의한 문제제기 활동을 통해 본 통계적 개념 이해
-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 분석
- The Type of Fractional Quotient and Consequential Development of Children's Quotient Subconcept of Rational Numbers
- Review on Relation between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Student Learning
- 속도의 관점에서 매끄러운 곡선의 의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