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들의 정적분 개념 이해
이용수 25
- 영문명
-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finite Integra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보미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1권 제1호,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적분 개념의 이해와 관련되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와 국내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정적분의 개념 정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지필형 검사지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선행연구와 교과서 분석 결과에 비추어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은 리만합의 극한이라는 정적분의 정의에 대한 최소 아이디어조차도 거의 기억해내지 못하였다. 또한 적지 않은 학생들이 정적분 개념이 넓이와 부정적분보다 무한급수와 관련된다고 생각하였다. 리만합의 극한으로 정적분을 정의하는 방식과 정적분을 무한급수와 관련시키는 맥락에 대한 반성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a survey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finite integral. The purposes of this survey were to identify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concept definitiones and concept images on definite integral. Definitions and images,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them of the definite integral concept, were examined in 108 high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plore the cognitive schemes for the definite integral concept that evoked by the students. The students' individual answers were collected through written environment. Four types of the private concept definitiones and concept images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검사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 작품을 활용한 수학 학습 지도 방안 연구
- 수학 교사 교육과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 A Framework for Assessing Probability Knowledge and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of U.S.
- 사례 연구를 통한 분수 나눗셈의 연산 감각 분석
- 수학과 문제중심학습 문제 분석을 위한 기준표 개발 및 적용
-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 논문투고 외
- 배 개념에 기초한 자연수 곱셈 개념의 지도 방안
- 함수의 그래프 표현 및 그래프 해석 지도 가능성 탐색
- Lakatos의 증명과 반박 방법에 따른 기하 교수․학습 상황 분석 연구
- 교수공학 친화적, 실용적,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적 연구
- 고등학생들의 정적분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