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on Plane figure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곽주철 류희수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0권 제3호, 423~4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의 수업 실제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학과 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특징을 알아보고, 교사의 PCK를 구분한 후 분석 준거에 의거하여 교사의 수학 수업의 실제를 관찰 및 분석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3학년 평면도형 단원을 선정하여 네 명의 서로 다른 PCK를 갖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PCK와 수업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PCK 수준에 따라 교사의 수업은 다르게 전개되었으며, PCK가 풍부할 때와 PCK가 부족할 때의 수업은 큰 차이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in the category of plane figure,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PCK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CK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struction. Instruction of four selec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to find out their educational practice.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and actual instruction of the teachers could be listed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ir PCK and educational practice on plane figure by applying selected analysis criteria,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ir PCK and actual instruction. Second, the teachers had various levels of PCK on different areas. Especially, there was a large disparity in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Third, the teachers who had plenty of PCK were more excellent in textbook recon- structing, and those who fell behind in terms of PCK were more reliant on textbooks as if the textbooks had been the Bib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