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세기의 '갈랑'(galant). 시대양식, 혹은 과도기적 양식의 부분적 현상?
이용수 13
- 영문명
- 'Galant' in the eighteenth century. A style of the time or a partial phenomena in the style of the transiti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나주리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3권 제2호, 39~6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the last century, various and contradicting opinions and interpretations on the topic, 'galant style' of the eighteenth century have been rampant. The fundamental cause lies in music theory books in the eighteenth century which have not presented consistent definition and evaluation on present musical phenomenon.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fundamental causes and examined 'galant style' mentioned in the theoretical book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results show as follows: Aspects of understanding 'galant style' until it is regarded in the same light as 'freier Stil' as it started from the music of galant homme, which is a social ideal rooted in France, but voices on identification of external identity mostly remains silent. This hindered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galant style' as a substantial music style. In order to define 'galant style' properly and identify historical identity objectively, studies on the works of the time which are mostly still unknown have to be preceded.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갈랑'의 어원과 그 의미의 시대적 변화
3. 18세기의 독일 음악이론에서 언급되는 '갈랑', 혹은 '갈랑양식'
4. 나가는 글 : 남아있는 문제점과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만의 미완성작
- 18세기의 '갈랑'(galant). 시대양식, 혹은 과도기적 양식의 부분적 현상?
- 18/19세기 서양 희가극에 나타난 ‘희극성’에 대한 연구
- 이딸리아 필사본 속의 트루바두르 도상학
- 서양음악학 제13권 제2호 목차
- 리스트의 《순례의 해, 제2권》에서 보여지는 조성적 모호함과 응집성
- 베토벤 《전원 교향곡》 1악장 전개부, 바그너 《라인의 황금》 중 ‘전주곡’, 그리고 라벨 《볼레로》의 분석을 통한 19세기에서 20세기 초의 음색작법 고찰
- 2010년 슈만의 해 개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54차 학술포럼
- 서양음악학회 제52차 학술포럼 《음악문화와 어법의 역사적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