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90년대 이후 리게티 작품에서 ‘국지성(locality)’의 문제
이용수 4
- 영문명
- The Issue of ‘Locality’ in Ligeti’s Works since 1990s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이희경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9권 제3호, 4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of ‘locality’, a remarkable feature of György Ligeti’s works since 1990s. In his Sonata for solo viola (1991-94), Hamburg Concerto for Solo Horn and Chamber Orchestra (1998-99/2002), and Síppal, dobbal, nádihegedűvel for mezzo-soprano and 4 percussionists (2000) is found the tone of Rumanian or Hungarian folk music evoking a locality. However, for Ligeti is the locality irrelevant to finding the Hungarian identity, rather it is related to traversing of various fields in order to interface his musical style with heterogeneous others. In the words of Deleuze-Guattari it can be called “absolute locality”: not to be limited to a local characteristic, but to be opened for all directions. In such a locality, like a close-up in filming, a shape is no more recognizable and it becomes prominent an affection of a concrete, tactual sense. This locality restricts not to an area and can be connected with others without abstracting its own quality. As a interesting musical example of “absolute locality” is mainly discussed a representative masterpiece of Ligeti's late works, Síppal, dobbal, nádihegedűvel, based on the lines of Hungarian Poet Sándor Weöres.
목차
1. 들어가며
2. 90년대 이후 리게티 작품의 지도
3. 리게티의 작품 세계와 ‘국지성’
4. 《피리, 북, 깽깽이로》(2000)의 “절대적 국지성”
5. 나가며: 리게티 음악의 현재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사관계(Similarity Relation)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19세기 초 예술통합 담론과 낭만주의 음악미학
- 루차스키의 마드리갈 양식
- 조성음악의 화성분석과 해석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중의성(重義性)
- 브람스의《네 개의 엄숙한 노래, op. 121》(Vier ernste Gesnge, 1896)에나타난 동기적 연관성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39차 학술포럼 음악분석 심포지움 “브람스 《네 개의 엄숙한 노래》, op.121”
- 변형을 통한 브람스의 대조·대칭의 미학
- 네오리만 변형이론을 통해 살펴본 반음계적 화성진행에 내재되어 있는 암시화음과 성부진행(1)
- 리게티 아카펠라 작품에서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
- 90년대 이후 리게티 작품에서 ‘국지성(locality)’의 문제
- 한국 서양음악이론학회 던즈비 교수 초청 세미나 보고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