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아동의 부모 역량 강화 프로그램 적용이 부모-아동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a Parental Empowerment Program 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표윤희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2호, 65~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2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 역량 강화를 통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적용이 부모-아동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험 및 통제 집단에 중도중복장애아동 16명, 부모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모 역량 강화를 통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적용이 부모-아동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는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부모 역량 강화를 통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적용이 부모와 중도중복장애아동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parental empowerment program 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6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6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parental empowerment program 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and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an enhancement program for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과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부모 역량 강화 프로그램 적용이 부모-아동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교원의 교직입문 전과 후의 교직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6권 제2호 목차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상황 중심 AAC 중재가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자기옹호기술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 관한 질적메타합성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여성 지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 분석
- 운동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WITH_ESN’ 프로그램이주간보호시설 성인 중도장애인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