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천국적인 길이”
이용수 58
- 영문명
- “Heavenly Length” : Schubert’s Expanded Secondary Theme Area and Phenomenological Time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정이은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22권 제1호, 151~1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슈베르트가 말년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20번 A장조》(D959)를 통해서 슈만이 슈베르트 음악에 대해 “천국적인 길이”라고 말한 것의 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슈만의 슈베르트 듣기와 관련해서, 본 논문은 특히 슈베르트의 형식 구조에서 일어나는 반복의 의미에 주목한다. 슈베르트의 반복적인 형식 구조에서 감상자들은 고전 시대의 소나타 형식에서 경험하는 시간성, 즉 목표점을 향해 진행하는 시간이 아닌, 순환적인 방식으로 시간을 경험한다.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20번 A장조》 1악장의 제2주제군의 형식 구성에서 감상자들이 경험하는 순환적 시간은 주제 진술의 반복을 통해 형성된다. 주제의 반복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진행은 시간의 과정 속에서 점진적으로 그것의 목표점을 드러낸다. 슈베르트의 제2주제군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구조적인 특질로 인해 감상자들은 월터 프리쉬(Walter Frisch)가 말하는 “기억에 근거한 듣기”를 하도록 유도된다. 또한 슈베르트의 반복적인 형식 구조는 후설의 시간 의식에 대한 이론을 환기시킨다. 후설의 이론을 슈베르트의 형식 구조에 적용함으로써, 본 논문은 슈베르트의 시간성이 음악의 구조적인 특질로부터 발생함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Schumann's expression of “heavenly length” on Schubert's music,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secondary theme area of the first movement of Schubert's penultimate A-major sonata (D959). In relation to Schumann’s reading on Schuber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meaning of repetitions occurring at a formal level in Schubert. In Schubert's repetitive formal structure, listeners’ experience of time is shaped in a cyclic manner, rather than in the forward-moving and goal-oriented way that is regarded as the normative procedure of conventional sonata form. However, what listeners experience in Schubert’s repetitive structure of the secondary theme is rather complicated: the trajectory of the thematic material gradually emerges and moves toward the sectional goal rather than simply remaining static in the repetition. These structural features of Schubert's secondary theme area invite listeners to use what Frisch calls “memory-based listening.” Furthermore, Schubert's repetitive structure evokes Husserl's theory of time consciousness. Applying Husserl's model to the musical structure, I argue that the temporality in Schubert’s music is elicited from the structural feature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D959/1의 순환적 시간
3. 순환적 시간과 앞으로 진행하는 시간 사이
4. 슈베르트의 소나타 형식과 현상학적 시간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대회 보고] 한국음악지각인지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음악을 느끼다”
-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음악적 수용
- 도덕극 오르도 비르투툼(Ordo Virtutum)의 음악 특성 연구
- 리스트가 본 슈만의 음악적 포에지
- 음악의 생명성
- 논문 투고 안내 외
- 필자 약력 (게재순)
- [서평] 홍정수, 「그런 음악 무슨 생각?: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 라모와 헨델의 승전축하작품 비교
- “천국적인 길이”
- 19세기 비르투오시티(virtuosity), 리스트의 비르투오시티, 그 연구의 재점검과 방향 모색
- [학술대회 보고] “한국 창작음악의 지형” 한국작곡가협회 사단법인 설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 서양음악학 제22권 제1호 목차
- [서평] 『그래도 우리는 말해야 하지 않는가: 음악의 연주·분석·작품의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