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의 생명성
이용수 9
- 영문명
- Sentience of Music: An Enactive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정혜윤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22권 제1호, 11~4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무생물인 음악이 마치 살아있는 존재자처럼 경험되는 현상에 주목하여음악의 생명성의 존재론적 근거와 본성을 신체화된 인지주의, 특히 발제주의의 입장에서 분석한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에 대한 20세기 후반 이래 분석철학자들의 논의들이 음악의생명성을 설득력 있게 해명하는 데 궁극적으로 실패했다고 보고 그 이유를 이들의 공통적 토대인 고전적 인지주의에서 찾는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을 청자의 생명성과 무관하게 음악안에 확정되어 있는 객관적인 속성으로 간주하는 분석철학자들의 견해에 반대하고 음악의생명성을 자율적 존재자로서의 청자와 소리환경 사이의 구조적 결속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미생성의 절차 가운데 발제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이 청자의 생명성과 음악의 소리 자원들이 제공하는 어포던스들 간의 순환적이고 구성적인상호작용으로부터 창발한다고 주장한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콜린 트레바르텐의 ‘정동조율,’ 대니얼 스턴의 ‘생명력의 형식,’ 그리고 음악적 동시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개진된다.
영문 초록
It is prevalent that listeners experience music as if it were alive even though music is non-sentient. In this essay, I attempt to make sense of this apparently non-sensical phenomeno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the sentience of music. In this essay, the recent arguments of analytic philosophers who discuss this phenomenon seriously are critically reviewed. I find the ultimate failure of those argument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founded on the classical cognitivism which endorses Cartesian dichotomy and the duality of mind and body. As an alternative, I adopt the embodied cognitivism and analyze the sentience of music from an enactive perspective.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is enacted in the process of sense-making through the structural coupling of a listener as an autonomous being and the sonic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emerges from the circular and constitutive interaction of the sentience of listeners and the affordances which the sonic materials of music provide. My argument is posited through discussion on Colwyn Trevarthen’s ‘affective attunement,’ Daniel Stern’s ‘vitality form,’ and the phenomena of musical synchronization.
목차
1. 서론
2. 음악의 생명성에 대한 분석철학자들의 논의
3. 음악의 생명성에 대한 발제주의적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대회 보고] 한국음악지각인지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음악을 느끼다”
-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음악적 수용
- 도덕극 오르도 비르투툼(Ordo Virtutum)의 음악 특성 연구
- 리스트가 본 슈만의 음악적 포에지
- 음악의 생명성
- 논문 투고 안내 외
- 필자 약력 (게재순)
- [서평] 홍정수, 「그런 음악 무슨 생각?: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 라모와 헨델의 승전축하작품 비교
- “천국적인 길이”
- 19세기 비르투오시티(virtuosity), 리스트의 비르투오시티, 그 연구의 재점검과 방향 모색
- [학술대회 보고] “한국 창작음악의 지형” 한국작곡가협회 사단법인 설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 서양음악학 제22권 제1호 목차
- [서평] 『그래도 우리는 말해야 하지 않는가: 음악의 연주·분석·작품의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