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쇼팽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반음 관계 전조의 형식적 기능
이용수 11
- 영문명
- Formal Functions of Semitonal Modulations in Chopin’s Music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정희원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9권 제3호, 113~1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쇼팽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원격 조성으로의 전조의 양상과 형식적 기능을 다룬다. 특히 본 논문은 쇼팽의 음악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반음 관계(semitonal relationships) 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반음 관계가 악곡의 형식 구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본문에서는 반음 관계의 전조가 나타나는 양상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첫째는 반음 관계가 종지 진행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로, 반음 관계의 진행이 종지구를 확장하고 극적으로 만드는 예로서 《왈츠 Ab장조, Op. 42》와 《판타지, Op. 49》를, 이와 반대의 음악적 맥락에서 원조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예로 《피아노 소나타 2번》의 1 악장을 제시한다. 두 번째로 반음 관계의 전조가 형식 구조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기능을하는 경우로서 《마주르카 D장조 Op. 33, No. 2》, 《마주르카 C단조 Op. 56, No. 3》과《발라드 4번 Op. 52》의 관련 악구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쇼팽의 음악에서 반음 관계가 나타나는 독특한 방식을 설명하고 이것이 작품의 형식과 쇼팽 음악의 스타일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시각을 제공함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hopin’s chromatic tonality by focusing on his use of semitonal relationships. I argue that recognizing Chopin’s delicate handling of tonal focus offers analysts a vantage point for interpreting semitonal relationships in formal designs. This paper explores formal functions of two types of semitonal modulations: 1) those that involve a cadential progression; and 2) those that blur formal boundaries. First, a semitonal shift becomes an effective way to expand and dramatize the resolution of tension or to weaken the movement’s sense of closure, as illustrated in the last moments of the Waltz in Ab Major, Op. 42, the Fantasy Op. 49, and the first movement of the Bb-Minor Sonata, Op. 35. Second, there are cases where a semitonal modulation blurs formal boundaries. In the Mazurka in D Major, Op. 33, No. 2, the Mazurka in C Minor, Op. 56, No. 3, and the Ballade in F Minor, Op. 52, a dividing point between the two sections is disguised by being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emitonal modulatory process.
목차
1. 들어가면서: 쇼팽 음악의 반음계주의
2. 종지와 연결된 반음 관계의 사용
3. 각 부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반음 관계의 사용
4. 나가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