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의 민네 개념에 대한 혁신
이용수 5
- 영문명
- Walther von der Vogelweide’s Innovation on the Conception of Minne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박을미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9권 제3호, 11~4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는 중세 독일의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서, 동시대인들로부터 최고의 시인이자 음악가로 인정받았던 민네징거이다. 음유시인으로서 발터는 민네의 형식과 내용을 완성시키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전통적인민네인 고급민네에서 시인은 지체가 높은 귀부인을 향한 보답 받지 못하는 일방적인 사랑을노래한다. 발터는 고급민네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며 인위적일뿐만 아니라 비현실적인 사랑을 노래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을 가졌다. 그가 새로이 창안한 새로운 개념의 민네, 즉 저급민네는 귀부인이 아닌 평범한 여성과의 쌍방향적인 사랑을 노래하며, 철저히 관념적인 사랑을추구하는 전통적 민네와 달리 감각적 사랑도 묘사했다. 발터는 또한 종교시, 교훈시, 정치시 등의 격언시도 썼는데, 이로써 그는 종래의 단창구라는 단순한 시형의 문학적 레벨을 한층 높였다. 사회에 비판적이었던 그는 격언시를 통해자신의 도덕적 원칙과 종교적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했으며, 이런 면에서 발터는 중세 독일의 가장 위대한 서정시인이자 독일 문학사에 진정한 혁신자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alther von der Vogelweide is one of the most eminent of the Medieval German poets, and was regarded as the greatest poet and musician by his contemporaries. As a minnesinger, his chief contribution was to perfect the form and content of Minne. In the traditional Minne(hohe Minne), the poet depicts a unrequited love for an unapproachable lady of a higher position. Walther criticized that hohe Minne is too formulaic and artificial, and sings unrealistic love. Instead of highly stylized hohe Minne, he suggested a new concept of Minne(niedere Minne) in which he granted a new form and content. In ‘niedere Minne’, the poet depicts a mutual and physical relationship with a young woman whose status is not of substantial. Walther also wrote religious, didactic, and political songs. To raise the simple Spruch to a high literary level was Walther’s another contribution. Since Walther was critical of society, he expressed his ethical principles and religious faith in his religious, didactic, and political songs. In this respect Walther was the most celebrated of the Medieval German lyric poets as well as a real reformer in the history of German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민네장의 역사
3.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가 가져온 민네 개념의 혁신적 변화
4. 발터의 시와 음악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