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어 작문교육의 연구와 현황
이용수 18
- 영문명
- Research and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Writing Teaching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임지영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0집,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향후 효과적인 작문교육과 다양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어내기 위해 현재 중국어 작문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객관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중국어 작문 연구와 교육의 현황을 조사한 논문이다. 중국어 작문에 관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에 관한 연구현황과 중국어 관련 학과에서 개설된 작문 과목과 교재 등의 교육 현황을 살펴본 결과는 간략하게 다음과 같다. 학술지·학위 논문과 작문교재가 발표된 연도별 그래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흐름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한 때 그래프가 치솟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교육정책이나 시험 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학술지 논문보다 입시나 교육과정 개정 등 정책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학위논문이 그런 경향이 짙었다. 연구대상은 수준별로 보면 학술지와 학위논문 모두 초·중급 수준, 연령별로 보면 학술지 논문은 대학생, 학위논문은 중·고등학생인 경우가 많았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집필하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학교에 속해 있어 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오류나 교재 분석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학술지는 특히 오류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위논문은 특히 교육과 지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작문 과목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개설하고 있지만, 선택인 경우가 다수였고 2·3학년에 대부분 개설하고 있으며 3학점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create effective writing teaching and various writing teaching schem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bjectively how Chinese writing teaching is carried out at present, so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writing research and teaching is investigated. The research status of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on Chinese writing and the teaching status of writing subjects and teaching materials in Chinese-related depart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nual chart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and writing materials show that the overall trends are similar. You can see a graph surge at a certain point in time, which is probably related to national education policy or examination policy. Degree papers, which are more affected by policies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s and curriculum revisions, tend to do so than academic journal papers. Since most researchers who write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belong to schools, they are interested in how to conduct mentoring,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errors or textbook parsing for students. Academic journals are particularly focused on fault detection, and degree papers are particularly focused on teaching and instruction. Most of the writing subjects are offered in schools, but many are optional, and most of them are offered in second and third grades and run on three credi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Ⅲ. 작문 교육 연구 분석 결과
Ⅳ. 작문 교육 현황 분석 결과
Ⅴ. 나오는 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聊斋志异》韩译本中山东方言词汇的翻译策略
- 중국몽: 새로운 보편가치의 등장인가, 대안근대성의 함정인가?
- 論“V諸於”用法成因及相關問題
- 汉·韩语“呼、내쉬다”和“吸、들이마시다”的隐喻对比浅析
- 비판과 금지로 작동한 비평기제
- 中国大学生择偶取向对婚恋观的影响研究
- 중국어 작문교육의 연구와 현황
- 자평명리학의 육친론 고찰
- 국내 학계의 ‘화교·화인’ 관련 연구성과
- 论迟子建《白雪乌鸦》中哈尔滨地理空间的构建
- 汉韩语预期标记“果然”和“과연”的对应类型对比研究
- 중국 SF소설의 과학기술과 문학적 상상 연구
-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의 構形體系에 관한 연구
- 오균요의 『금문』에 나타난 금문도의 의미화 방식
- 『투쯔창 혼자만의 슬픔』에 나타난 중국 청년의 빈곤화 과정
- ‘春’, ‘秋’ 의미 분석을 통한 고대 계절 개념 고찰
- 중국인문과학 제80집 목차
- “VP不过”句式的历时演变及认知分析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說苑』의 이야기 표현 방법 연구
- 文化自信语境下中国少数民族音乐资源的出版路径探讨
- 중국의 여해적 정일수(鄭一嫂)와 해상권력의 구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