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Meaning of ‘Aswium’ Type Emotional Verbs: Focusing on ‘aswipda, akkapda, seopseophada and seounhada’ by Analyzing the Co-occurring Noun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초심념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3輯, 29~6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is to uncover the semantic preferences of the co-occurring nouns of the ‘aswium’ type emotional verb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ir meanings.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acquisition of synonyms is crucial for expanding vocabulary knowledge and improving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distinguishing between synonyms with similar meanings in different contexts can be challeng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emotional verbs. Simply relying on a dictionary to understand the contextual meaning of emotional vocabulary is also difficult, as it fails to capture the complex and nuanced differences in various contex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recent studies on linguistic expressions of emotion have utilized corpus linguistics, AI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By analyzing corpus data, this study attempts to distinguish their meaning by revealing their semantic preference for the co-occurring nouns of Korean ‘aswium’ type emotional verbs - ‘aswipda, akkapda, seopseophada and seounhada’.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actical and objective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아쉬움’ 감정동사의 공기 양상
4. ‘아쉬움’ 감정동사의 의미적 선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