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Attitude of Employee in Travel Agency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최철수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15권 제4호, 267~2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vious other research has greatly advanced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by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Emotional labour is considered by many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role of many travel professionals. Previous research has not, however, investigated the tenants of the framework across various emotional labor and service attitude in travel service. So, I investigate the main effects of the element of the emotional labor with interactive situation, display rules, and emotion control strategy on result with the service attitude. Data obtained from survey of employee who engage in the sales field of travel agency. In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display rules and deep acting ar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service attitude of employee. And frequency, duration, and job routineness are significant elements which influence on service attitude. Measuri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s more process oriented, viewing emotional labor as an effortful aspect of work. Surface-level regulation and deep-level regulation were predicted to have different patterns of relationships. Deep acting may create a sense of satisfaction in the quality of the provided services.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es surface acting was not significant beyond the other variables. It can also help in pinpointing areas requiring more managerial attention and action to improve the emotional labor travel agent employees perform. Lastly, it is my hope that the availability of this instrument will stimulate much needed empirical travel emotional labo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특성과 여행소비행동 간의 관련성 연구
- 여행사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점의 물리적환경이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호텔고객이 지각한 서비스인카운터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스토리텔링이 관광목적지 매력지각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수명주기 연구
- 호텔 종사원의 고객지향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개별여행자의 여행사 선택속성 연구
- 호텔기업의 노사파트너십과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중양분선택형 CVM을 적용한 문화유산자원의 보전가치(non-use value) 평가
- The effect of brand image on brand value and brand loyalty: focused on deluxe hotels in Miami
- 여행사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태도의 영향관계
- 호텔기업의 고객화가 고객충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사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7호 목차
- 주민 주도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CBT) 형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정선군 고한읍 마을호텔 18번가를 중심으로
- 관광목적지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의 관계적 폭력성 연구: host-guest 프레임워크의 폐기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