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³)의 효과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Program, DM³ Based on Coding Instruction Using Pyth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서빈(Seobin Lee) 고상숙(Sang-Sook K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8권 4호, 479~4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범용 언어인 파이썬(Python)을 활용하여 시연중심모델(DMM 모델)에 멘토링 학습을 접목시킨 DM³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총 7차시의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에서의 코딩수업을 개발하였다. 실험처치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습자 50명과 보조교사(멘토)로 참여한 예비수학교사 25명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특히 교사교육의 일환으로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에서의 코딩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습자뿐만 아니라 보조교사로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코딩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mathematical program coded using python to analyze the resul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to provide som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math education using coding. For the study, we designed the DM³ instruction model based on demonstration, modeling, marking, & mentoring and subsequently developed *-lesson units for the use in seventh grade learning and teaching in a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experimented on two groups of subjects : 50 seventh grade students (learners) from one middle school, and 25 pre-service teachers (supp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thematic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both subjects on coding instruction. Moreover,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coding instru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gram based on coding instruction using Python are consequently feasible for the seventh grade stu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주목하기의 특성
- 대학생들의 미분 개념에 대한 표현 유창성 분석
-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³)의 효과
- 수학과 IQP에 근거한 고등학교 선택과목 교수의 질 분석 -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Ⅰ을 중심으로
- 수학학습에서 모호성의 역할
- 교과 역량 신장을 위한 수업과 평가 개선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학습 내용 비교 분석 –1,2,3학년을 중심으로-
- 복소수 개념에 관한 학생 오류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그래프 단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