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Case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ethod of Information Collection in the Curriculum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동근(Dong Gun Lee)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학연구』제29권 3호, 363~3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운영 활성화 방안’의 도입에 따라 이전보다 각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해졌다. 이는 해당 정책이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하여 제기하는 요구사항을 수시로 반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은 교육과정 실천자인 현장 교사들에 의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현장 수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요구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예비 면담을 진행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반 구조화된 면담 계획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면담 계획에 따라 초등학교 담임교사 2인과 중학교 수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면담 횟수는 집단별로 1회의 기본 면담과 필요시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기’와 ‘주로 참고하는 정보의 종류’ 등에 대한 자료를 수합할 수 있었고, 평가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에 대한 요구’가 다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교사의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 자료 개발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Modification System of Curriculum” on-site teachers’ continuous inspection of the contents of each subject’s education has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policy presumes that teachers frequently reflect on the requirements raised through ongoing checks of training content in the fiel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on-site teacher’s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um, since ongoing checks on educational content can be powered by on-site teachers who are curriculum practitioner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methods of collecting data on the curriculum of on-sit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se needs. This will in turn reveal the teachers’ needs in this proces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preliminary interviews with one teache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n developed a meeting plan based on this. Under the established interview plan, the FGI was conducted for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ee middle school math teachers. The number of interviews was one basic interview per group and one additional interview, if necessary.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collect information when math teachers needed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type of data they always refer to.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requirements in teachers’ curriculum data depending on their sensitivity to the assessment. This is a basic study that provides a basis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that can help teachers’ in classes, as suggested by future research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근(Dong Gun Lee). (2019).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9 (3), 363-387

MLA

이동근(Dong Gun Lee).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9.3(2019): 363-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