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34
- 영문명
- Middle School Students’ Realistic Consideration of Problematic Problem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희(Gyuhee Yi) 이지현(Jihyun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1권 4호, 449~4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실생활 맥락의 지식을 얼마나 예민하게고려하는지, 또 그렇게 인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85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정형화된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와 불확실성을 내포한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하게 하고, 1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후속 인터뷰를수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실생활 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하여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한 학생의 비율은 약 22%로 높지않았다. 후속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와 현실 상황을 분리하여 사고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본연구에서 분석한 실생활 문장제에 대한 학생들의 비현실적 반응은 학교수학에서의 실생활 문장제 교수학습 관행에 시사점을 줄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ensitivel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 realistic contexts while solving problematic problems. Six pairs of word problems were collectively administered to 85 students in third grade during a mathematics lesson,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students. The surve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solved the problems by sensitively considering real-world knowledge was not high (22%).
In the follow-up interviews,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ould think of mathematics separately from real-world situations. An analysis of the students’ unrealistic reactions to real-life problems ha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school mathematics regarding real-life word proble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