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 마케팅 특성이 헤어숍 이용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3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Visit and Purchase Behaviors in Hair Salon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전혜린 홍수남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5권 제1호, 195~2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마케팅 특성이 헤어숍 이용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10대~50대 남녀 209명을 대상이다. 자료분석은 SPSS V.25.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세부적인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마케팅 특성이 헤어숍 이용의도에 정(+)의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마케팅 특성의 하위요인인 접근성, 유의성, 상호작용성이 헤어숍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SNS 마케팅 특성이 헤어숍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결과. 마케팅 특성의 하위요인인 유희성, 접근성, 상호작용성이 헤어숍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헤어숍 이용의도는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헤어숍 이용의도는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마케팅 특성이 높을수록 헤어숍 이용의도와 구매행동에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이는 곧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visit and purchase behaviors in hair salons, and its subjects were 209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 to 50s nationwid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V.25.0, and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if the social media marketing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hair salons, accessibility, similarity, and interactivi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rketing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sit a hair sal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social media marketing characteristics positively (+) affect the purchase behaviors in hair salons, playfulness, accessibility, and interactivity, the sub-factors of marketing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behaviors in hair salons. Third, after examining if the intention to visit a hair salon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behavior, the intention indeed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media marketing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visit and purchase behavior in hair salons and that these function as important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언론 보도 연구
- 고령층의 디지털 디바이드 현황 분석
- MZ세대가 주도하는 미래의 예술 ‘NFT미술’과 아트테크에 관한 고찰
- 4차산업혁명과 메타버스에 관한 인문적 고찰
- K-POP 해외 팬들의 메타버스 가상 아이돌 수용에 관한 연구
- 선도대학 통일교육의 효과성 연구
- 여성의 신체만족과 지각하는 이미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제5권 제1호
- 휴먼이미지의 기호학적 구조
- 성별에 따른 액티브 시니어의 미용 시술 및 성형 만족도에 대한 실태연구
- 피부미용 관리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회복탄력성, 직무만족, 이직의도 관계 연구
- 비건화장품 소비의도
- SNS 마케팅 특성이 헤어숍 이용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맞춤형 화장품 구매의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