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n the meaning of the slaves’ shap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이용수 81
- 영문명
- 조선조 야담 속 노비의 형상과 그 의미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신정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6권 제1호, 2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문헌설화에 나타난 노비의 형상들을 살펴보는 가운데 시간의 흐름 속에 노비의 형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노비의 문학적 형상화와 변이양상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야담에서 노비는 주인과의 관계에서 충성스러운 존재로 그려지거나 주인에게서 도망쳤어도 끝내 옛 주인에 대한 은혜를 잊지않고 인간의 본분을 다하려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조선시대 야담을 시기적으로 보면 이야기의 유형에 차이가 있다. 조선 전기 잡록류에서는 노비가 양반을 대리하는 화자로 등장하는데, 이는 개별화된 존재라기보다는 수사적 장치로 판단된다. 이후 등장하는 초기 야담집인 <어우야담>에서는 양반과 노비의 불가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후기 야담집인 <계서야담>과 <청구야담>에 등장하는 노비는 양반과 분리된 개인으로 묘사된다. 이밖에 야담 속 여성노비와 남성노비의 이미지에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 노비의 재산적 가치가 더 높았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shapes of slav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confirms the differences in the shapes of slaves in the flow of time,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literary imagery dealing with slaves and its variation. The slaves in Yadam are portrayed as beings who have internalized the value of the ideology of ‘loyalty’, a neo-Confucian ideology,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master. Also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stories about runaway slaves are also handed down. The slaves found in the Yadam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are depicted as human types deeply internalized in their loyalty to their master, and even if they were runaway slaves, they appear as trying to fulfill their human duty without forgetting the grace they had for their master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y make the choice to cheat on their master and leave for a new life. Looking at Yadam of the Joseon Dynasty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story found in each Yadam collection. Slaves, who appear very brief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eave a deep impression of their presence through a word of speech, can be said to be talkers in place of noblemen, and speech as ‘slaves’ seems to be a rhetorical device. In ‘Eou Yadam’, an early Yadam collection, we can se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oblemen and slaves, who depended on slaves for everything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loyal slaves who risked or threw their lives only for the master without a single glance and in the later Yadam collections ‘Gyeseo Yadam’ and ‘Cheonggu Yadam’, slaves are portrayed as individuals separated from the yangban through their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and rebellion against their social status. In additio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imagery of male and female slaves in Yadam, and the method of portraying each individual’s extraordinaryness is different. This seems to reflect the real situation where the value of female slaves as property is higher.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shape of slaves in Yadam
III. Changes in the shape of slaves and that meaning
I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조선조 야담의 노비 형상화
충성스러운 노비 이야기
도망친 노비 이야기
노비와 주인의 관계
여성 노비의 재산적 가치
the shapes of slav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stories of slaves who have internalized the value of the ideology of ‘loyalty’
stories about runaway slaves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oblemen and slaves
the value of female slaves as propert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독서모임 구성원의 자기치유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On the meaning of the slaves’ shap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 The Asset-Based (Patrimonial Issue Based) Voting Decision in Local Election - Focusing on the 6th and 7th Local Elections -
- 테일러 준칙과 그 적용에 관한 소고
- Generalist Bureaucrats with Expertise: Multiple Accountabilities and Government Action
- Profit Rates, Capital Accumulation, Business Cycles: Korean Economy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6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게임 이용 중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