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란의 종교 민족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머리카락과 히잡 연구
이용수 83
- 영문명
- A study on women’s hair and hijab from the perspective of Iranian religious nationalism: Focusing on the 2022 anti-hijab protests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엄익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3권 1호, 31~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mid-September in 2022, anti-government protest sparked by anti-hijab protest have continued in Iran. Iranian women opposed the government’s compulsory hijab law with the slogan “Women, Life, Freedom”, and the scale of the protest mushroomed with participation of Iranian men and women in other countries through SNS. This study considered the less explored question of “why does women’s hair matter,” which triggered the current protest. Hair is a private component of the human body. However, it is revealed or hidden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symbolizing women’s sexual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in 1979, the Islamic regime has strengthened religious nationalism, and hijab has become a political tool. And now, it is even expanding into a security issue of the regime, as the government pinpointed the US and Israel as being the behind the protes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women’s hair and politicized hijab within the discourse of religious nationalism, which control Iranian women at various leve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air and sex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slamic public patriarchal system and add a new case study to the discourse on hijab by interpreting it from the discourse of religious nat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머리카락, 체모에 관한 담론 분석과 여성 통제의 수단으로서 히잡
Ⅲ. 이란의 종교 민족주의 담론 속 정치화된 이란여성의 머리카락
Ⅳ. 2022년 이란 반히잡 시위와 안보문제로 상징화된 여성의 머리카락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