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건강도시의 새로운 방향
이용수 132
- 영문명
- New Direction of Korean Healthy Cities
- 발행기관
- 도시건강학회
- 저자명
- 고광욱 김혜숙
- 간행물 정보
- 『도시건강연구』제1권 제1호, 25~2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 has experienced rapid change and urbanization rate in 2018 is 90.8% and faces challenges in issues such as suicide, quality of life, rapid ageing, low birth rate, climate change and pandemic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evolution of Korean Healthy Cities and explored new way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 unprecedented rate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have been supplemented with Primary Health Care and Health Promot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Korean Healthy Cities Partnership also has grown rapidly since 2006 and many organizations have played diverse roles and finally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amended to include Healthy Cities in 2021. The Korean Health Plan 2030 also include Health in All Policies as basic principles.
Climate change and pandemic requires another paradigm change in Healthy Cities. So Korean Healthy Cities needs new directions based on ‘Essential Healthy Cities action domains’ in governance, inequalities, supportive environments, plan for urban preparedness, readiness and response in public health emergencies etc.
목차
1. 들어가는 말: 급변해온 근현대한국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로
2. 대한민국 건강도시의 발전
3. 한국도시의 새로운 방향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