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hould We Provide More Economic Aid to Recipient Countries in Crisis?: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Aid
이용수 2
- 영문명
- Should We Provide More Economic Aid to Recipient Countries in Crisis?: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Aid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은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8 No.9, 139~14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bilateral aid among official development aid on recipient countries. The significance is that the effect of aid was investigated in a complex manner by dividing the perspective of economic growth measured by Gross National Income (GNI) per capita and quality of life measured by the Human Development Index(HDI). In addition, limited empirical analysis by continent or country in previous studies was expanded to cover all recipient countrie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data from 2005 to 2019 were collected. A data sample of bilateral aid from 60 countries was constructed from the official development aid data from 88 recipient countries. According to the Fixed-Effect (FE) and Random-Effect (RE) model estimation coefficient, the donor’s continued suppor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onor country’s continuous aid is important, but the recipient country’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apabiliti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people’s economic quality of lif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Effect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응급의료인력의 폭력반응과 자기효능감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통계적 분석기법을 통한 하천 정비사업의 효과도 평가
- Should We Provide More Economic Aid to Recipient Countries in Crisis?: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Aid
- 미중패권경쟁시대에서의 한국 과학기술 주권확보전략
- 위기관리 핵심 수단으로서 상황관리 관계 법률 검토
- Crisisonomy Vol.18 No.9 목차
-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50세 이상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빅데이터를 이용한 무인 점포 범죄 연구
- HIV/AIDS 감염인의 사회적기업 근무 경험의 의미
-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과 동료돌봄행위에 대한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 산불특수진화대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