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emical Components of the Fruits of Kigelia africana and their DPPH, Intracellular ROS, and Tyrosinase Inhibitory and Apoptotic Effects
이용수 21
- 영문명
- Chemical Components of the Fruits of Kigelia africana and their DPPH, Intracellular ROS, and Tyrosinase Inhibitory and Apoptotic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정하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8권 제4호, 60~6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시지나무(Kigelia africana)는 주로 아프리카 중남부 및 북부지역에서 서식하는 수종으로, 오래전부터 효능이 우수한 medicinal plant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시지나무의 열매로 부터 6종의 화합물을 단리하고, ESI-MS (positive ion) 및 1D-NMR 분석을 수행하여 화학구조를 β-sitosterol (1), ferulic acid (2), caffeic acid (3), gallic acid (4), luteolin (5) 및 luteolin-7-O-β-D-glycopyranoside (6)로 규명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화합물 3과 4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IC50: 19.17 ± 1.01 및 10.24 ± 0.18 μM), 화합물 4는 ROS 생성 억제 효능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IC50: 29.17 ± 1.64 μM). 또한 화합물 3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IC50: 39.91 ± 1.82 μM). 화합물 5는 HCT116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고 핵의 응축 및 괴사를 촉진하며, caspase-8과 caspase-9의 분화를 가져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소시지나무 열매로부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활성산소종 제거능이 우수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인체 대장암세포주인 HCT116의 성장을 저해하는 활성물질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in the fruits of Kigelia Africana. Six chemicals were isolated by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identified by ESI-MS and 1D-NMR as β-sitosterol (1), ferulic acid (2), caffeic acid (3), gallic acid (4), luteolin (5), and luteolin-7-O-β-D-glycopyranoside (6). Compounds 3 and 4 exhibite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19.17 ± 1.01 and 10.24 ± 0.18 μM, respectively. Compound 4 had a moderate antioxidant effect with an IC50 value of 29.17 ± 1.64 μM versus DCHF-DA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induced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Compound 3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with an IC50 value of 39.91 ± 1.82 μM, and compound 5 dose-dependently induced the apoptosis of HCT116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Profiles of gene expression at different time points under salt-stress in Triticum aestivum L.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