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Direction of Educational Space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 저자명
- 오명원 유성은
- 간행물 정보
-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Vol.17 No.2, 21~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convergence talents with creativity is being emphasized, and improving the creativity of design students is one of the top priority educationa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that enhance creativi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types and learning processes of learning methods applied in the field of design were investigated, and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se learning methods and the space required according to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an example of interior design curricula, the learning methods and necessary spaces were founded out. The design patterns of the studio environment of 'Fielding International' were investigated, and specific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examples of studio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studio-type space was required in all subject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o-type space were summarized as agility, transparency, and open community.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실내디자인교육 사례분석
4. 스튜디오 설계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