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발이익에 대한 정책적 조세의 정당성과 한계
이용수 61
- 영문명
- Legitimacy and Limitations of Taxation Policy on Development Profit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산업학회
- 저자명
- 김웅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산업연구』제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동산 시장에서 정책적 조세의 필요성은 인정된다. 그러나 조세입법자들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면 ‘정책적 조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임기응변식으로 대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진단과 잘못된 처방으로 인하여, 오히려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등 정책적 조세의 한계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조세입법의 경우 정치적 목적과 사회경제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그 한계를 명확히 하여 절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정책적 조세는 재산권 외에 평등권 등 다양한 기본권을 침해할 위험이 있으므로 입법자는 관련 입법사항에 대한 명확한 의사표현과 재정수요의 대체적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need for taxation policy in the real estate market is recognized. However, tax legislators were more inclined to solve problems through “Taxation Policy”, if they spread to social problems rather than solve the underlying problems. However, due to these incorrect diagnoses and incorrect prescriptions, housing prices have risen, indicating the limits of taxation policy. Therefore, tax legisla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procedure, clarifying its limits,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in favor of political objectives and socio-economic climates. And since taxation policy risks infringing on various fundamental rights such as equal rights in addition to property rights, we believe that legislators should express their intentions clearly on relevant legislative matters and present alternative results for fiscal demands.
목차
I. 서론
II. 부동산 시장에서 정책적 조세의 법적지위
III. 부동산 시장규제를 위한 정책적 조세입법의 헌법재판소 태도
IV. 정책적 조세의 남용과 한계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