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캐릭터 적용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 유형 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om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 Type of Kids Specialized Rooms with Character: Focusing on Using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규미 김남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3권 제4호, 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캐릭터 마케팅을 적용한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도를 유형화ㆍ세분화하며, 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만 1-6세 아동의 보호자 31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2019년 2월 1일부터 15일까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실내코디네이션 구성요소를 범주화 하였고, 24개의 Q표본을 최종 선정하였다. Q 방법론을 활용한 분석결과, 캐릭터를 적용한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안전한 놀이와 콘텐츠 체험 선호형’으로 아동의 놀이 활동에 대한 안전 욕구와 콘텐츠 체험 욕구가 강한 집단이다. 제 2유형은 ‘캐릭터 디자인 실내코디네이션 선호형’으로 객실 실내코디네이션에 캐릭터가 다양하게 적용되어 특별한 느낌을 받기를 선호하는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제 3유형은 ‘소품을 활용한 놀이 체험과 no-screen 선호형’으로 활동적인 놀이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실내코디네이션은 선호하지만 콘텐츠 접근을 쉽게 하는 소프트웨어적 실내코디네이션은 선호하지 않는 집단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통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특화객실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여 객실 실내코디네이션의 선호유형을 분류하였고,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sort room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s of kids’ specialized rooms adopting character marketing by using Q methodology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ypes found. This study selected 31 parents of children aged one to six years old as a sample and interviewed them from February 1-15, 201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Q methodology show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preferences for room interior coordination for kids. The first type was classified as “safe play and content experience preference,” which reflected a strong desire for safety and content experiences for children's activities. The second group, “character design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 preferred to have a special feeling towards interior coordination applied with various characters. Finally, the third group, “play experience using small toys and no-screen preference,” preferred hardware-wise room interior coordination that enabled kids to play actively, as opposed to a software-oriented room interior coordination that makes them easily accessible to contents.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develop a theoretical typology of kids’ specialized rooms based on their subjectivity,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분석을 이용한 관광윤리 개념체계에 관한 연구
- 카지노 직원의 사회 심리적 요인이 ERP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리뷰의 내용적․비내용적 단서가 호텔 매니저의 지식획득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축제참가자의 특성이 결속 및 교량형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관광전공 학부생의 지식, 태도, 행동 분석
- 캐릭터 적용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 유형 연구
- 환대산업 서비스 접점 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비교 연구
- 가상 당 조절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 가치, 선택 속성 중요도 및 구매의도 연구
- 호텔 상품의 선택과부화가 구매 선택 결정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외식사업체의 핵심 및 부가 서비스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베이비부머의 퇴직 후 관광경험 분석
- 정서발달이론을 적용한 호텔인턴의 진로선택의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