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obile Learning Attributes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ents’ Foreign Language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Focused on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조보은 윤지환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3호, 75~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표는 자기주도학습 수준에 따른 모바일 학습 속성의 특징(개별성, 상호작용성, 유비쿼터스, 실무활용성)이 관광 어학학습의 지각된 성과와 만족도에 대한 영향분석을 통해 향후 호텔·관광관련대학의 모바일 학습 교과과정 개선 및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7년 3월27일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 경기, 경북지역의 호텔·관광관련학과 대학의 2년제, 4년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최종 275부가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학습의 개별성, 상호작용성, 유비쿼터스, 실무활용성이 지각된 성과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자기주도학습 집단은 모바일 학습의 4개 속성 모두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낮은 자기주도학습 집단은 상호작용과 실무활용성만이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모바일 학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호텔·관광관련 외국어 직무능력의 질적 향상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our factors of mobile learning (personalization, interactivity, ubiquity, and working-level availability)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n hospitality and tourism students’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To this end, a total of 275 surveys collected from March 27 to April 21, 2017, in the Seoul, Gyeonggi, and Gimcheon area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affected by the four factors of mobile learning. Furthermore, a high self-directed learning cluster was crucial in comprehending perceived performance, while a low self-directed learning cluster did not affect satisfaction. Findings of the stud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mobile learning and can provide schools and instructors with opportunities to revise the existing curriculums of foreign language courses, which, in turn, can improve performance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4호 목차
- 지역축제 지역문화일치성이 주민자긍심과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