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 1급 호텔 조리 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특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Deluxe Hotel Culinary Staf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taff's Gender and Career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홍윤주 김영욱 김영중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5호, 155~1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 1급 호텔 조리 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특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319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8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χ2=421.770(df 234), p<.001, CMIN/df= 1.802, GFI=.906, AGFI=.880, NFI=.881, CFI=.937, TLI=.933, RMSEA=.045.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β=.149), 과업중요성(β=.299), 자율성(β=.455)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β=.508)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특성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과의 인과관계에서 성별과 경력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staff job characteristics in deluxe hotel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is end,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and gender as they affect the relations of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a total of 319 samples obtained for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8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simultaneously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data fit, χ2=421.770(df 234), p<.001, CMIN/df=1.802, GFI=.906, AGFI=.880, NFI=.881, CFI=.937, TLI=.933, RMSEA=.045.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showed that skill variety (β=.149 ), task significance(β=.299) and autonomy(β=.455)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β= .508)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즈니스 생태계 관점에서 관광산업 건강성에 관한 연구
- 특 1급 호텔 조리 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특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외국인 관광객 재방문 의도 결정 요인
- 공유숙박 잠재적 이용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역사유산 관광 체험 동기와 자아 정체성 진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특 1급 호텔 식음료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
- 관광통역안내사의 쇼핑 및 선택관광 지향행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호텔직원의 직급에 따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조직침묵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 공동체 환경변화와 축제에 대한 담론
- 항공사 FFP의 마일리지 적립과 공제의 등가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관광리조트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교도소 여가활동이 폭력성향의 감소, 사회적 기술함양,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 [서평] 그래서 그들은 과연 행복해졌을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