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역사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선택 과목 구성 방안

이용수  233

영문명
The Organization of 2022 History Curriculum High School Elective Course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양정현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44호, 7~4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 교육과정 역사과 선택 과목 편성은 사회 교과군 내 다른 영역과 비교할 때 심각한 불균형을 보인다. 이는 학습자의 선택권을 넓힌다는 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부합하지 않는다. 역사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와 ‘시안 개발 연구(1차)’에서 제안된 「세계유산 탐구(가칭)」, 「역사콘텐츠와의 대화(가칭)」 두 개의 선택 과목은 폐기되어야 할 이유와 근거를 찾을 수 없다. 두 과목 모두 역사과 선택 과목에 다시 포함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러한 판단을 근거로 문화유산·문화사 관련 과목 교육과정안을 「한국과 세계의 인류 문화유산」이라는 과목명으로 제시하였다. 문화, 문화사 관련 과목 개설과 교육과정 구성은 학습자가 한국과 다른 나라의 문화유산을 함께 살필 기회를 제공하여 균형감 있는 문화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화사 관련 과목의 제안은 2022 중·고등학교 역사과 교육과정 전체 구성에서 전근대와 근현대의 비중에 불균형이 있다는 지적에 대한 보완의 의미도 있다. 근래 한류 혹은 K-Culture의 확산 등 우리 문화 내용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 조류에서 우리 청소년들이 이러한 문화 융성의 원천인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해서 제대로 알 기회를 얻지 못한 상태로 막연한 자문화 중심주의나 문화 사대주의로 흐르는 것은 피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한국과 세계의 인류 문화유산」은 선택 과목의 하나로써 충분한 존립의 근거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selection of elective subjects in the history of the 2022 curriculum is disproportionate to other areas within the social studies group. There is no reason to discard the two elective subjects of the history department, which were proposed from the basic research stage of the curriculum. Both subjects deserve to be reintroduced into the course of history. Based on this judgment, I presented a curriculum plan for subject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history under the title of . In composing the curriculum for cultural history-related subjects, the cultural heritage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examined together. This is to provide the learner with an opportunity to have a balanced cultural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mmersed in both ethnocentrism and cultural philanthropy. In addition, the cultural history subject has the meaning of supplementing the point that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proportion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in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in 2022. Recently,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are attracting attention around the world. In this current trend, it should be avoided from flowing into vague self-culturalism or cultural philanthropy without the opportunity for our youth to properly know about Korea's cultural heritage, the source of such cultural prosperity.

목차

Ⅰ. 서언
Ⅱ. 2022 역사과 교육과정 선택 과목 설정 논의
Ⅲ. 문화사·문화유산 관련 과목 교육과정안
Ⅳ.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현. (2022).2022 역사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선택 과목 구성 방안. 역사교육연구, (), 7-44

MLA

양정현. "2022 역사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선택 과목 구성 방안." 역사교육연구, (2022): 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