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후계농사업 선정 농가의 가족기업농적 성격 고찰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arm Business of Farmers Selected for Young Farmer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신원상 김태연 고경호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49권 3호, 538~56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mproving the agricultural manpower structure is an urgent issue in our agriculture. The Young Farming Project is a major project of the youth farmer support policy, targeting young farmers who want to start a new independent farming by further developing the existing succession farm selection project. In our laws and regulations, agricultural holdings are defined as farmer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individual economic units, such as youth successors, are targeted for support. However, since there are various individual economic units within the agricultural holdings, it is necessary to try the business target from various angles in the policy project to introduce new farmers from the outside.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unit called the young successor farm,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unit called the family farm, is identified as an individual production unit called the farmhouse,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rough the concept of the family farm business. In Korea, we are used to understanding family farm and corporate farm as opposite concepts, but in the West, family farm and corporate farm are no longer viewed as opposing concepts due to the past debate on the existence of family farm, and the focus is on how family relationships and business activities are regulated within the farmhouse. By understanding family farm through the concept of a family busines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richer perspective for policy improvemen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가족기업과 가족기업농
Ⅲ. 청년후계농사업의 특성
Ⅳ. 청년후계농사업 선정 농가의 가족기업적 특성 조사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