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우고기 구매 결정요인
이용수 35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Hanwoo Beef Consumption: Not Only What, But Also How Matters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장재봉 김민경 정경수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49권 3호, 465~4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nsumer demand for meat is constantly growing and changing in Korea,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meat demand, especially hanwoo beef. In addition to domestic Korean beef, consumers encounter various alternatives such as the U.S. and Australian beef in the beef market, and purchase them in consideration of their preferences and economic conditions. The selection attributes among various beef types might be interdependent between alternatives. The issue at hand is how to incorporate consumers considering other alternatives in their purchasing decisions. This study implements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of Hanwoo beef, U.S. beef, and Australian beef that assesses how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beef attributes influence consumer beef purchasing decisions.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 between origins of beef in the purchase decision, suggesting underlying complementary preferences among various beef origins. Taste and nutrition are found as the key factors in the purchasing decision of hanwoo beef, whereas safety and price are not. Moreover, the results reveal that consumers who regularly consume imported beef frequently purchase Hanwoo beef, mean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consider either Hanwoo beef or imported beef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 dish to be cooked at home. Socioeconomic factors like age, income, family size, marital status and residential region significantly determine consumers’ shopping frequency of Hanwoo beef.
목차
Ⅰ. 서론
Ⅱ. 분석자료 및 모형
Ⅲ. 분석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