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87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aring Behavior in Hemodialysis Uni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Bo Ra Lee Mi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8 No.5, 95~1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개의 도시에 소재한 혈액투석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은 감성지능(r=.53, p<.001), 정보제공적의사소통(r=.40, p<.001), 친화적 의사소통(r=.5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친화적 의사소통(β=.43, p<.001)과 감성지능(β=.32, p<.001)은 돌봄행위 중요성 인식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성지능을 높이고 친화적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aring behavior in the hemodialysis uni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orm 176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s located in three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aring behavio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r=.53, p<.001), informative communication(r=.40, p<.001), and affective communication(r=.59, p<.001).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aring were affective communication(β=.43,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β=.32,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aring for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s, a strategy is needed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mprove a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과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risisonomy Vol.18 No.5 목차
- 노인요양시설의 COVID-19 집단감염 대응체계 개선방향
-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우울증 완화를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간호학과 학생의 진솔성과 공감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해외주요국의 재난관리체계 특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표준대응절차 개선방안 모색
- 껌씹기가 복강경하 복부수술 환자의 장운동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위기관리를 위한 동적역량 학술경향 연구
- 기업 재해경감활동 성숙도 조사 신뢰성 분석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한일 GSOMIA의 군사외교적 고찰
- 중소병원 간호사의 급성 호흡기 감염병 관련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착탈 수행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