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ECG Window Acquisition 단위 변환을 통한 선량 및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Study on Image Quality and Dose of Coronary CT Angiography with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Unit Conversion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조장우 채희창 서충범 서은희 대창민 김태은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4권 제2호, 21~3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 리듬 환자와 심방세동 환자의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기존의 상대적 지연 스캔 단위를 절대적 지연 스캔 단위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의 화질 저하 없이 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흉부 팬텀과 ECG simulator를 이용하여 동 리듬과 불규칙한 심박수를 만들어 팬텀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상연구는 동 리듬 환자 90명과 심방세동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절대적 지연 스캔은 환자의 평균 심박수를 기준으로 단위 변환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관심영역 설정 후 정량적 화질 평가를 하였으며, 임상 연구에서는 관찰자 2명이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Dose information에 기록된 CTDIvol 및 DLP로 선량 평가를 진행하였다. 팬텀 연구 결과 동 리듬, 심방세동군 모두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정량적 화질 평가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불규칙한 심박수 79에서 실험군의 CTDIvol은 대조군 대비 18% 감소하였으며, DLP는 대조군 대비 17.4% 감소하였다.(P<0.05) 임상 연구 결과 모든 관심영역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정량적 화질 평가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 리듬 환자의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CTDIvol, DLP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심방세동 환자의 실험군 CTDIvol은 대조군 대비 33% 감소하였으며, DLP는 대조군 대비 30%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심방세동 환자의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 검사 시 환자의 평균 심박수를 기준으로 ECG window acquisition 단위를 milliseconds로 변환 후 검사 범위를 설정하여 검사한다면, 영상 화질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환자선량 감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compared to those of the relative delay scan when using an absolute delay scan after converting the ECG window acquisition unit in coronary CT angiography. We used chest phantom and ECG simulator through the phantom study. Patient study was conducted on 90 sinus rhythm patients and 76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The absolute delay scan was performed after unit conversion based on the average heart rate. After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was made, qualitative evaluation was made by two observers. The dose was evaluated using the CTDIvol and DL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ntitative values in terms of the phantom study. At an irregular heart rate 79, the CTDIvol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LP decreased by 17.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As a result of patient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ntitative values in terms of the patient study. The CTDIvol of the artrial fibrillation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3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LP decreased by 3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As a result, when examining coronary CT angiography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it will help reduce the patient’s dose without affecting the image quality if the scan range is set after converting the ECG window acquisition unit to milliseconds based on the average heart rat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24권 제2호 목차
- Head & Neck Computed Tomography에서 Dual Layer Detector CT를 이용한 가상 단일에너지의 유용성 평가
- MDCT에서 ACR 팬텀의 구성 물질에 따른 공간분해능 연구
-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ECG Window Acquisition 단위 변환을 통한 선량 및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 CE-Boost 기술을 적용한 CT Angiography 영상 비교평가
- 심장 볼륨의 임계값 설정에 따른 일회 박출량과 심장구축률 변화에 관한 연구
- Liver Volumetry를 위한 Deep Residual U-Net의 모델 복잡성
- 다양한 커널과 iBHC 알고리즘에 따른 심장동맥 석회화의 체적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