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uasi-2D Ruddlesden-Popper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의 이해
이용수 23
- 영문명
- Understanding on the formation mechanisms of quasi-2D Ruddlesden-Popper halide perovskites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박예랑(Yerang Park) 황인찬(Inchan Hwang)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5권 제3호, 356~36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wo dimensional (2D) or quasi-2D halide perovskites have attracted intense interest in recent years for the replacement of three dimensional(3D) perovskites, owing to their stability and structural/optoelectronic tunability. However, the control of their composition and orientation is challenging when solution processed for thin films, because of the similarity in formation energy for different layer numbers.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factors affecting formation of 2D and quasi 2D perovskites, especially Ruddlesden-Popper perovskites, in solution-processed thin films. All the factors are associated with nucleation and growth kinetics, which affect their phase distribution and orientation. Furthermore, the performances of the photovoltaics and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the controlled quasi-2D perovskites are briefly discussed.
목차
1. 서론
2. Quasi-2D 페로브스카이트 형성 메커니즘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리케이트 유리의 전열물성 및 윤활기능 최적화 및 몰드플럭스로의 활용
- 유연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용 초박형 유리의 화학강화
- 친환경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 다이오드의 연구 동향
- Quasi-2D Ruddlesden-Popper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의 이해
- 다양한 광전자 응용을 위한 산화니켈 합성법
- 디스플레이(LCD/OLED) 파유리/폐유리의 가치있는 재활용
- 카메라 렌즈용 광학 유리 소재 핵심 특성과 기술개발 현황
- 모노리식 전고체 무기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 연구 개발 동향
- 조성 변화를 통한 상용 소다석회유리의 내후성 향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